본문 바로가기
세금신고

일용직 급여 신고의 모든 것: 단 2일 근무자 처리부터 원천징수까지 한 번에 정리

by 티스토리 애자 2025. 4. 17.

최근 한 인사 담당자가 겪은 사례를 통해 일용직 근로자의 급여 신고 과정을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 3월 20일~21일 이틀간 일한 일용직 직원에게 10만 원을 지급한 경우, 어떻게 세무 처리를 해야 할까요?

일용직 급여 신고의 모든 것: 단 2일 근무자 처리부터 원천징수까지 한 번에 정리

1. 근로내용확인신고 필수 여부

  • 대상: 월 8일 미만 근무자
  • 신고 기한: 급여 지급일이 속한 달의 다음 달 15일까지
    • 예: 3월 25일 지급 → 4월 15일까지
  • 신고 방법: 고용노동부 '토탈서비스' 접속 → [일용근로] 메뉴에서 신고
  • 제출 서류: 지급명세서 (근로자 정보, 근무 일자, 일당 기재)

주의: 신고 누락 시 500만 원 이하 과태료 부과

2. 원천징수 의무 발생 조건

급여 금액 원천징수 필요 여부
10만 원 이하 면제 (2023년 기준)
10만 원 초과 3.3% 징수 (소득세 2.2% + 지방세 1.1%)
  • 계산 예시: 15만 원 지급 시 → 15만 원 × 3.3% = 4,950원 징수

3. 실제 신고 절차

(1) 토탈서비스 신고

  1. 로그인 → [일용근로] → [근로내용확인신고]
  2. 근로자 정보 입력 (주민번호, 근무일자, 일당)
  3. 지급명세서 PDF 출력 후 보관 (5년)

(2) 원천징수 신고 (10만 원 초과 시)

  1. 홈택스 접속 → [원천징수] → [기타소득]
  2. 근로자별 금액 입력
  3. 세금 계산 후 10일 내 국세청 납부

4. 주의할 오류 사례

  • 오류 1: 일용직을 정규직으로 오인해 4대 보험 가입
    • 해결: 근무일수 8일 미만 확인 필수
  • 오류 2: 지급명세서 미보관 → 세무조사 시 문제 발생
    • 해결: 클라우드에 스캔본 저장
  • 오류 3: 원천징수금을 직원에게 추가 청구
    • 주의: 사업주 부담 원칙

5. 신규 디지털 시스템 활용

  • 자동 계산기: 토탈서비스 내 세금 계산 기능
  • 모바일 신고: 스마트폰으로 즉시 신고
  • API 연동: 인사관리 프로그램과 자동 연동

6. 전문가 조언

  • 3개월 점검: 분기별 일용직 고용 현황 재확인
  • 교육 실시: 인사담당자 연 2회 세무 교육
  • 백업 시스템: 신고 내역 이메일 자동 전송

7. 예상 Q&A

Q. 7일 일했는데 하루 2시간 근무도 포함되나요?

  • Yes. 근무일수는 출석일수로 계산

Q. 일용직에게 상여금 주면 어떻게 되나요?

  • 기타소득 추가: 기본급 + 상여금 합산 후 세액 계산

Q. 신고 후 급여 지급일 변경 가능?

  • No. 신고 내용과 실제 지급일 불일치 시 과태료

8. 긴급 상황 대응

  • 신고 기한 초과 시:
    1. 지방고용노동청 방문
    2. 가산금(5%) + 이자(연 14.6%) 납부
    3. 사유서 제출
  • 계산 오류 발견 시:
    • 다음 달 신고 시 정정 분 반영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