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비보험

보험 가입 시 고지 안 한 병력, 나중에 들키면 어떻게 될까?

by 티스토리 애독자 2025. 3. 28.

보험 가입할 때 고지의무는 알겠는데, "안 들키면 그만이지"라는 생각 잠깐 해보셨죠? 하지만 2020년 도입된 ICIS 시스템과 보험사의 은밀한 조사 방법을 알면 그 생각이 바뀔 겁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고지 안 한 병력은 언제든 발각될 수 있고, 보험금 못 받을 뿐만 아니라 계약 자체가 무효화될 수 있습니다!


1. ICIS 시스템의 한계 vs 보험사의 숨은 무기

  • ICIS(보험신용정보통합조회):
    • 확인 가능: 본인이 과거 청구한 보험금 이력
    • 확인 불가:
      • 고지하지 않은 미청구 병력
      • 타 보험사에 청구했지만 거절된 기록
      • 건강보험공단 진료 기록
  • 보험사의 추가 조사 방법:
    1. 건강보험공단 조회: 모든 병원·약국 이용 내역 확인 (※의료법 제46조 근거)
    2. 의료기관 직접 조회: 청구 시 해당 병원에 진료 기록 요청
    3. 현장 조사원 파견: 이웃·직장 동료에게 질문 ("언제 아팠나요?")

핵심: ICIS는 빙산의 일각일 뿐, 보험사는 의료 기록 전체를 훑어봅니다!


2. "가입 땐 괜찮았는데..." 보험금 청구 후 벌어지는 일

  • 단골 사례:
    • A씨: 2021년 고혈압 진단 받고 고지 X → 2023년 뇌출혈로 보험금 청구
    • 결과: 보험사, 건강보험공단 조회로 2021년 진단 기록 발견계약 해지 + 보험금 거절
  • 보험사 조사 시점:
    • 소액 청구: 서류만 확인 (진료비 영수증 등)
    • 고액 청구(1억 이상): 본격적 조사 (병원 기록 열람, 주변 인터뷰)
    • 의심스러운 패턴: 동일 질병 반복 치료, 대형병원 급속 전과

: 3년 미만 계약 + 고액 청구 = 90% 조사 확률


3. 고지의무 위반 시 보험사의 3단계 응징

  1. 보험금 지급 거절: "고지 안 한 병력 때문에요!"
  2. 계약 해지: 이미 낸 보험료도 돌려주지 않음
  3. 형사 고발(극단적 경우): 보험사기죄 적용 (※민사 70%, 형사 30%)

예외:

  • 고지遗漏 기간 5년 경과: 법정 시효 소멸 (※보험법 제651조)
  • 사소한 병력: 감기·충수염 등 일부 질환은 관대하게 처리

4. "그땐 몰랐어요" 변명 통할까?

  • 주장 가능한 경우:
    • 진단 받은 적 없음: 증상만 있었을 뿐
    • 의사가 "병 아님"이라고 함: ex) "스트레스성 위염"
  • 통하지 않는 경우:
    • 검진에서 이상 지적: ex) 당뇨 전단계
    • 만성 질환 약물 복용: ex) 6개월 이상 고혈압 약 처방

중요: 의료 기록에 남은 모든 것이 증거가 됩니다!


5. 막을 방법은 없나요? 현실적인 대처법 3가지

  1. 가입 전 전체 병력 정리:
    • 건강보험공단 진료내역증명서 발급 (과거 5년치)
    • 의사 소견서 확보: "○○년 △△병 완치"
  2. 고지 의심 병력은 반드시 언급:
    • ex) "5년 전 위내시경 했는데 이상 없었어요"
    • ex) "1년 전 MRI에서 디스크 소견 있지만 통증 없어요"
  3. 보험사와의 모든 대화 기록:
    • 설계사와의 카톡·이메일 보관
    • "이 병력 고지해야 하나요?" 질문 증거 남기기

6. 만약 이미 고지 않았다면? 리스크 관리법

  • 소액 치료만 청구: 조사 확률 낮춤
  • 병원 기록 수정 요청:
    • ex) "스트레스성 복통" → "기능성 소화불량(G40)"
  • 보험사 전략적 이용:
    • 고지 누락 병력과 무관한 질병으로만 청구

경고: 이 방법도 100% 안전하지는 않습니다!


결론: 투명함이 최선의 보험입니다!

보험사는 생각보다 모든 것을 알고 있습니다. 고지의무를 성실히 이행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가장 안전한 방법이죠. 만약 실수로 누락했다면, 보험금 청구 전 보험 전문가와 상담하여 최선의 전략을 세우세요. 건강한 보험 생활을 응원합니다!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