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 중사 A씨는 탄약 작업 중 발생한 허리 부상으로 공상 인정을 받기 위해 고군분투 중입니다. 초기 진단서의 질병 코드(M51)와 추후 상해 코드(S33)의 불일치가 문제가 되고 있죠. 이 상황을 해결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알려드립니다.
1. 공상 승인의 핵심 조건
- 작업과 부상의 직접적 연관성
→ "탄약 취급 중 갑작스러운 동작으로 인한 추간판 탈출증" 증명 필요 - 의료 기록 일관성
→ 초진부터 재발까지 모든 진료 기록이 상해(S 코드)로 통일되어야 함
2. 현재 문제점 분석
- 22년 1월 초진 기록:
- 질병 코드(M51) 사용 → "기존 디스크 병력"으로 오해 유발
- 작업 중 발생 사실 기록 누락
- 23년 8월 재발 치료:
- 상해 코드(S33) 사용 → 의료 기록 불일치 리스크
→ 결과: 보험사/군 당국이 "선천적 질환"으로 판단할 가능성 ↑
3. 해결을 위한 4단계 액션 플랜
STEP 1. 초기 진료 기록 수정 요청
- 병원 방문:
- "22년 1월 통증이 작업 중 갑작스럽게 발생했음을 진료 기록에 반영해 달라" 요청
- 진단서 재발급: M51 → S33.1(요추 추간판 탈출증) + "작업 관련성" 명시
STEP 2. 의사 소견서 추가 확보
- 필요 내용:
- "2022년 1월 27일 증상은 기존 병력과 무관하며, 작업 중 외상성 원인이 우세함"
- "2023년 재발도 초기 상해의 합병증으로 판단"
STEP 3. 작업 현장 증거 수집
- 작업 일지 복사본: 탄약 처리 당시 A씨의 업무 내용 기록
- 동료 증언서: "당시 A씨가 갑자기 허리를 잡고 쓰러진 장면 목격" 등의 서면 증거
- 안전 관리 기록: 해당 작업의 위험성 평가 보고서 등
STEP 4. 군 법무부 협조 요청
- 공식 문서 제출:
- 수정된 진단서
- 의사 소견서
- 작업 관련 증거 묶음
- 청문회 요구: 필요시 증인 출석 요청
4. 보험금 청구 동시 대응
- 상해보험 청구 시:
- 수정된 S33 코드 진단서 제출
- 작업 현장 증거 패키지 첨부
- 질병코드 오류 시 보험사 대응:
- "의료진의 초기 기록 오류" 강조 → 재심사 요청
5. 군 내부 공상 처리 타임라인
단계 | 기간 | 비고 |
---|---|---|
서류 제출 | 즉시 | 의료 기록 수정 선행 |
1차 검토 | 15일 | 추가 서류 요청 가능 |
심의 위원회 | 30일 | 증인 소환 시 최대 45일 |
최종 결정 | 60일 | 불승인 시 행정소송 고려 |
6. 실제 사례: 어떻게 성공했나?
- 해군 상사 B씨:
- 창고 작업 중 허리 부상 → 초기 M51 코드 사용으로 거절
- 수정된 진단서(S33) + 작업 동영상 제출 → 90일 만에 공상 인정
- 보험금 1,200만 원 추가 수령
결론: 기록의 일관성이 승부처입니다!
의료 기록의 S 코드 통일, 작업 연관성 입증 자료 확보가 관건입니다. 병원, 군 당국, 보험사와의 적극적 소통으로 공상 인정을 이끌어내세요. 건강과 권리 모두 지키는 현명한 군인이 되길 응원합니다! 💂♂️
반응형
'실비보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손보험 코드 S vs M: 보험금 차이의 모든 것 (0) | 2025.03.28 |
---|---|
D23.9 코드 수술 보험금 청구, 50만원 받았는데... 이거 맞아요? (0) | 2025.03.28 |
역류성 식도염 보험금 청구 시 K20.0 코드 문제 해결 가이드 (0) | 2025.03.28 |
지방종 제거 수술 보험금 청구 성공 가이드: 코드 D17.9부터 서류 작성 팁까지 (1) | 2025.03.28 |
보험 가입 시 고지 안 한 병력, 나중에 들키면 어떻게 될까? (0) | 2025.03.28 |
보험금 청구 시 서류 요약: 세부내역서만으로 충분할까? (0) | 2025.03.28 |
의료 기록 오류 시정 가이드: 잘못된 질병코드 바로잡기 (0) | 2025.03.28 |
종신 건강보험 보험료 낮추는 현명한 전략: 20대 사회초년생 필수 가이드 (0) | 2025.03.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