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최신뉴스

분양가 상한제 실거주의무, 알고 계신가요?

by 티스토리 애자 2024. 1. 28.

최근 부동산 시장의 불안정성과 투기수요를 억제하기 위해 도입된 분양가 상한제 실거주의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분양가 상한제 실거주의무란 무엇이고, 어떤 주택이 대상이며, 얼마나 거주해야 하는지, 위반하면 어떤 법적 책임이 따르는지, 그리고 정부와 여야의 입장과 장단점은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분양가상한제란 무엇인가?

분양가상한제란 정부가 주택의 분양가격을 인근지역 주택매매가격의 일정 비율 이내로 제한하는 제도입니다. 2021년 2월부터 수도권과 행정중심복합도시,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적용지역에서 공급되는 주택에 적용되었습니다. 분양가상한제의 목적은 주택의 공급과 수요의 불균형을 해소하고, 투기수요를 억제하고, 주택가격의 안정화를 도모하는 것입니다.

실거주 의무의 대상과 기간은 어떻게 되나?

실거주 의무란 분양가상한제 적용주택의 입주자가 일정 기간 동안 해당 주택에 거주해야 하는 의무를 말합니다. 실거주 의무의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사업주체가 수도권에서 건설·공급하는 분양가상한제 적용주택
  • 행정중심복합도시 중 투기과열지구에서 건설·공급하는 주택으로 행정중심복합도시로 이전하거나 신설되는 기관 등에 종사하는 사람에게 입주자 모집조건을 달리 정하여 별도로 공급되는 주택
  •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적용지역에서 공공재개발사업으로 건설·공급되는 주택

실거주 의무의 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공공택지에서 건설·공급되는 주택의 경우
    • 분양가격이 인근지역 주택매매가격의 80% 미만인 주택: 5년
    • 분양가격이 인근지역 주택매매가격의 80% 이상 100% 미만인 주택: 3년
  • 민간택지에서 건설·공급되는 주택의 경우
    • 분양가격이 인근지역 주택매매가격의 80% 미만인 주택: 3년
    • 분양가격이 인근지역 주택매매가격의 80% 이상 100% 미만인 주택: 2년
  • 행정중심복합도시 이전기관 등 종사자 특별공급주택의 경우: 3년
  •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적용지역 내 공공재개발사업 주택의 경우: 2년

실거주 의무를 위반하면 어떤 법적 책임이 따르나?

실거주 의무를 위반하면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집니다. 또한, 전세를 주거나 임대하는 경우에는 30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최악의 경우,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 분양가 수준으로 주택을 되팔아야 합니다.

실거주 의무의 완화 또는 폐지에 대한 정부와 여야의 입장은 어떠한가?

실거주 의무의 완화 또는 폐지에 대한 정부와 여야의 입장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정부의 입장: 실거주 의무는 주택의 거주 이전의 자유를 침해하고, 주택의 유동성을 저하시키며, 주택의 공급을 억제하는 부작용이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지난해 1월 3일에 발표한 부동산 대책에서 실거주 의무의 폐지를 제안했습니다.
  • 민주당의 입장: 실거주 의무는 투기수요를 억제하고, 주택의 공공성을 강화하며, 주택의 가격 안정화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실거주 의무의 폐지에는 반대하고 있으나, 실거주 의무 시작을 유예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 국민의힘의 입장: 실거주 의무는 주택의 거주 이전의 자유를 침해하고, 주택의 유동성을 저하시키며, 주택의 공급을 억제하는 부작용이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실거주 의무의 폐지를 추진했었으나, 민주당이 제안하는 실거주 의무 유예안에 대해서는 논의의 여지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실거주 의무의 장단점과 효과는 무엇인가?

실거주 의무의 장단점과 효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 장점
    • 투기수요를 억제하고, 주택의 공공성을 강화하며, 주택의 가격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주택의 거주 이전의 자유를 제한함으로써, 주택의 소유와 사용의 균형을 맞출 수 있습니다.
    • 주택의 유동성을 저하시킴으로써, 주택의 장기 보유를 유도하고, 주택의 재산화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 단점
    • 주택의 거주 이전의 자유를 침해하고, 주택의 유동성을 저하시키며, 주택의 공급을 억제하는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주택의 거주 이전의 자유를 침해함으로써, 주택의 소비와 투자의 선택권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주택의 유동성을 저하시킴으로써, 주택의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 효과
    • 실거주 의무의 효과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일부 연구에서는 실거주 의무가 주택의 가격 상승을 억제하고, 투기수요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다른 연구에서는 실거주 의무가 주택의 공급을 감소시키고, 주택의 유동성을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실거주 의무의 효과는 주택의 수요와 공급의 변화, 주택의 가격 결정 요인, 주택의 거주 이전의 패턴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