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동차보험

교통사고 과실 8:2, 내 돈은 얼마나 나갈까?

by 티스토리 애독자 2025. 4. 30.

출퇴근길에 발생한 사고, 상대방 과실 80% vs 내 과실 20%로 결정났다면? 치료비·휴업손해·차량 수리비 등 각종 비용 중 내가 부담해야 할 금액을 예측해드립니다.


1. 치료비 부담 구조

  • 상대방 보험사: 치료비 총액의 80% 지급
  • 본인 부담: 20% (단, 본인 보험으로 커버 가능 여부 확인 필수)

예시:

  • 총 치료비 1,000만 원 → 본인 부담 200만 원
  • 운전자보험 가입 시: 200만 원 전액 또는 일부 보상

주의!:

  • 비급여 항목: MRI, 특수재료비 등은 보험사가 인정하지 않을 수 있음
  • 선급금 요구: 병원이 본인에게 20% 먼저 요구할 경우, 보험사에 청구서류 제출 후 환급 가능

2. 차량 수리비 분담

  • 내 차 수리: 내 과실 20%만큼 상대방 보험사가 부담
    (예: 수리비 500만 원 → 상대방 100만 원 지급)
  • 상대방 차 수리: 내 보험사에서 20% 부담
    (수리비 300만 원 → 내 보험사 60만 원 지급)

꿀팁:

  • 자차보험 미가입 시: 내 차 수리비 80%는 본인 부담
  • 면책금 적용: 자차보험 가입 시 면책금 30만 원 차감 후 지급

3. 휴업손해 & 위자료

  • 휴업손해: 월급 300만 원 × 3개월 휴업 → 720만 원 (300×3×80%)
  • 위자료: 일반적 500~1,000만 원 → **400~800만 원** (80% 한도)

실제 사례:
B씨는 3개월 휴업 후 휴업손해 720만 원 + 위자료 600만 원 받음. 총 1,320만 원


4. 본인 부담금 줄이는 3가지 방법

  1. 운전자보험 청구: 정액 입원일당·통원치료비 활용
  2. 의료실비보험 청구: 본인부담금 20% 보상
  3. 병원과 협상: 비급여 항목 할인 요청

주의:

  • 이중 청구 금지: 같은 항목을 중복으로 청구할 경우 보험사에서 거절

5. 예상치 못한 비용 3가지

  1. 차량 감가상각비: 수리 후 시가 하락분 (법원 판례 기준 10~15%)
  2. 대인사고 위약금: 회사 차량일 경우 발생 (월 렌트비 5~10%)
  3. 법원 소송비: 합의 안 될 경우 소송비 300~500만 원

6. 체크리스트: 사고 후 7일 이내 해야 할 일

  • 보험사에 사고 접수 (유선 + 앱)
  • 병원에서 초진기록부 발급 (과실 증빙용)
  • 현장 사진 10장 이상 촬영 (차량·흔적·신호등)
  • 동승자 진술서 작성 (사고 경위 확인)

Q&A: 궁금증 해결

Q1: 상대방 보험사가 80%만 지급한다는데, 병원에서 100% 요구하면?
"선결제 후 청구": 본인이 100% 납부 후 보험사에 80% 청구 (20%는 본인 보험으로)

Q2: 운전자보험 없을 때 200만 원 부담 못 하면?
할부 협상: 병원과 6개월 분할 납부 계약

Q3: 과실 20%가 불공평하다면?
교통사고분쟁조정위원회에 재심 청구 (성공률 40%)

 


마무리

과실 20%라도 예상보다 큰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운전자보험 가입 여부를 즉시 확인하고, 병원·보험사와의 소통을 철저히 하세요. 건강이 최고지만, 현명한 대처로 금전적 손실은 최소화하시길 바랍니다!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