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최신뉴스

가을철 식중독 방심하다간 당하는 이유

by 티스토리 애자 2024. 8. 30.

가을이 되면 날씨가 선선해지면서 식중독에 대한 경각심이 줄어들기 쉽습니다. 하지만 가을철에도 식중독은 여전히 큰 위험 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가을철 식중독의 원인, 주요 균종, 예방 방법, 그리고 대처 방법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가을 물회


가을철 식중독의 원인

가을철 식중독은 주로 낮과 밤의 큰 일교차로 인해 발생합니다. 낮에는 기온이 상승하여 식중독균이 번식하기 쉬운 환경이 조성되지만, 아침과 저녁에는 선선한 날씨로 인해 방심하게 됩니다.

이러한 환경 변화로 인해 식품을 상온에 방치하는 경우가 많아지며, 이는 식중독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됩니다.

  1. 일교차: 가을철에는 아침과 저녁은 쌀쌀하지만 낮에는 기온이 높아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일교차로 인해 음식이 상온에서 쉽게 상할 수 있습니다.
  2. 위생 관리 소홀: 여름철에는 식중독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하지만, 가을이 되면 상대적으로 관리가 느슨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식중독 발생 위험이 높아집니다.
  3. 식중독균의 활동: 가을철에도 살모넬라, 비브리오 패혈증, 대장균 O157 등 다양한 식중독균이 활동할 수 있습니다. 특히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균은 많은 양의 육류를 조리한 후 상온에 보관할 때 쉽게 번식합니다.
  4. 야외 활동 증가: 가을철에는 소풍이나 야외 활동이 많아지면서 도시락이나 김밥 등 야외에서 먹는 음식의 보관과 위생 관리가 중요해집니다.
  5.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손 씻기, 음식을 충분히 익혀 먹기, 끓여 먹기 등의 기본적인 위생 수칙을 철저히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조리된 음식을 바로 먹지 않을 경우 냉장고에 보관하고, 야외에서 음식을 먹을 때는 빠른 시간 내에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6. 주요 식중독균가을철에 주로 발생하는 식중독균으로는 병원성 대장균과 살모넬라균이 있습니다.

식중독을 일으키는 균

  • 병원성 대장균: 이 균은 동물의 장내에 서식하며, 감염 시 복통, 구토, 설사, 피로, 탈수 등의 증상을 유발합니다. 특히 장출혈 대장균에 감염될 경우 출혈성 대장염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살모넬라균: 이 균은 포유류, 조류의 소화관 및 물, 토양에 존재하며, 감염 시 구토, 발열, 메스꺼움, 복통, 설사 등의 증상을 유발합니다. 살모넬라 식중독은 주로 달걀 조리식품에서 발생합니다.

조심해야 할 음식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 특히 주의해야 할 음식들


날것, 생으로 먹는 음식: 육회, 참치 회, 회덮밥, 해산물 등.
동물성 식품: 닭고기, 쇠고기, 삶은 달걀, 치즈버거, 스테이크 등.
쉽게 상할 수 있는 음식: 햄버거, 샌드위치, 간편식 등.


예방 방법은?

가을철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준수해야 합니다.

  1. 손 씻기: 비누를 사용해 손가락 사이, 손바닥, 손등, 손톱 밑을 흐르는 물에 20초 이상 씻어야 합니다.
  2. 익혀 먹기: 가열 조리 식품의 중심부가 85℃ 이상이 되도록 1분 이상 가열해 익혀 먹어야 합니다.
  3. 끓여 먹기: 물은 반드시 끓여서 마셔야 합니다.
  4. 냉장 보관: 높은 온도에서는 세균이 빨리 번식하기 때문에 냉장 보관이 필요한 음식은 가능한 한 빨리 냉장고에 넣어야 합니다.
  5. 교차 오염 방지: 칼과 도마는 구분하여 사용하고, 생채소와 과일은 소독 후 사용해야 합니다.

대처 방법은?

만약 식중독에 걸렸다면 다음과 같은 대처 방법을 따르세요.

  1. 수분 섭취: 탈수를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수분을 섭취해야 합니다.
  2. 지사제 복용 주의: 지사제를 함부로 복용하지 말아야 합니다. 지사제는 장운동을 멈추게 하여 독성이 강한 균들이 장내에 머물게 할 수 있습니다.
  3. 의료기관 방문: 증상이 심할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가을철에도 식중독 예방을 위해 철저한 위생 관리와 식품 보관 방법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건강한 가을을 보내기 위해 위의 예방 수칙을 꼭 기억하세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