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금신고

결혼 자녀에 1억 증여 시 기존 증여 내역 있다면? 세무사가 알려주는 신고 가이드

by 티스토리 애독자 2025. 2. 7.


증여세 중과 방지부터 홈택스 신고 절차까지 한 번에 정리


1. 결혼 자녀 증여세 기본 규정

  • 혼인증여재산공제: 2024년 1월 1일 이후 혼인 전후 2년 이내 증여 시 1억 원 한도 비과세.
  • 일반증여재산공제: 성인 자녀 기준 5,000만 원 추가 공제 가능.
    총 1.5억 원까지 증여세 감면 가능.
  • 기존 증여 내역 반드시 합산: 과거 증여액과 현재 증여액을 더해 과세표준 계산.

2. 실전 신고 절차 (홈택스 기준)

STEP 1. 신고 메뉴 선택

  • 기존 증여 이력이 있는 경우 '정기신고' 메뉴로 접속 (※ '간편신고' 불가).
  • 증여자·수증자 정보 입력 후 '합산증여재산' 항목에 2022년 5,000만 원 기재.

STEP 2. 공제 항목 적용

  1. 일반증여공제: 성인 자녀 기준 5,000만 원.
  2. 혼인증여공제: 1억 원 (※ 혼인일자·관계 증빙 서류 필수).
    → 총 1.5억 원 공제 완료.

STEP 3. 세액 계산 및 신고

  • 총 증여액 1.5억 원 - 공제액 1.5억 원 = 과세표준 0원.
  • 신고서 제출 후 전자납부번호 확인.

3. 주의해야 할 3가지 상황

CASE 1. 기존 증여가 혼인증여공제 기간에 포함된다면?

  • 예시: 2022년 5,000만 원 증여 → 2024년 결혼 증여 시, 2022년 금액은 공제 불가.
    → 2024년 증여액 1억 원에만 혼인공제 적용.

CASE 2. 1.5억 원 초과 증여 시

  • 초과분은 10%~50% 증여세 부과 (※ 금액별 누진세율 적용).
    예: 2억 원 증여 시 → (2억 - 1.5억) × 10% = 500만 원 납부.

CASE 3. 부동산 증여 시 추가 서류

  • 등기부등본, 감정평가서 첨부 필요.
  • 취득세·등록세 별도 납부 (※ 증여세와 다른 별도 세금).

4. 추가 절세 팁

  • 부부 협력 전략: 양측 부모가 각각 1억 원 씩 증여 → 자녀당 총 2억 원 비과세.
  • 증여시기 분할: 혼인 전 1억 원, 출산 시 1억 원 증여 → 평생 1회 출산공제 추가 활용.
  • 사전 상담 필수: 복잡한 증여 내역은 세무사와 사전 검토를 통해 가산세 방지.

5. 신고 후 확인 사항

  • 전산납부번호: 홈택스 '조회' 메뉴에서 즉시 확인 가능.
  • 증빙서류 보관: 혼인증명서, 증여계약서 등 5년간 보관 (※ 세무조사 대비).
  • 가산세 주의: 신고 기한(증여일 기준 3개월) 넘길 시 최대 20% 추가 납부.

▶︎ 핵심 요약

  • 기존 증여 내역은 반드시 합산 신고.
  • 홈택스 '정기신고' 메뉴에서 일반공제 + 혼인공제 동시 적용.
  • 1.5억 원 초과 시 누진세율 주의.
  • 2024년 최대 절세 포인트: 부모 협력 + 증여시기 분할!

📢 국세청 권고사항: 증여세 신고는 반드시 증여일 기준 90일 이내에 완료해야 가산세 면제 가능합니다.

반응형

댓글